맨위로가기

경기버스 (기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버스는 KD운송그룹의 계열사로, 2009년 선진상운을 인수하여 설립된 경기 남양주, 포천 지역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1968년 대진운수로 설립되어 선진상운으로 사명을 변경한 후 KD운송그룹에 인수되었다. 현재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며, 자일대우, 현대, CHTC, 우진산전, 볼보 등 여러 제조사의 버스를 운용한다. 본점은 남양주시 진접읍에 위치해 있으며, 광릉내, 내촌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동양고속
    동양고속은 1968년 설립되어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한진고속 인수를 통해 사업을 확장했으며 경부선, 호남선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고 안양시를 주 관할 면허지로 두고 있다.
  • 196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평안운수
    평안운수는 1968년 창립되어 2006년 KD운송그룹에 인수된 경기도 의정부시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경기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시내일반, 직행좌석, 광역급행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의정부, 양주, 동두천 등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 KD운송그룹 - 세명고등학교 (충북)
    1987년 충현고등학교로 개교하여 1994년 세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세명고등학교는 대원교육재단이 운영하는 충청북도의 사립 고등학교로, 꾸준한 시설 확장을 통해 다양한 학습 및 편의 시설을 갖추고 2023년 2월 기준 11,20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KD운송그룹 - 고양종합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종합버스터미널로, 2012년 개장 후 화재 사고를 겪었으나 재개장하여 현재 전국 각지로 시외·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남양주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을 연결하여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에서 양평군 용문역 또는 지평역까지 운행하는 약 120km 길이의 수도권 광역 철도망으로, 급행 및 완행 열차가 운행되며 서울역, 용산역, 왕십리역, 청량리역, 상봉역 등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 남양주시의 교통 -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을 잇는 총 144.6km의 고속도로로, 구리~포천 구간은 개통되었고 세종~구리 구간은 건설 중이며, 건설 초기 명칭 및 노선 관련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구리~포천 구간은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가, 세종~구리 구간은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한다.
경기버스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 이름주식회사 경기버스
원어 이름GYEONG GI BUS CORP.
종류주식회사
창립일1968년 8월 27일
시장 정보비상장
소재지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경복대로 497
국가대한민국
대표이사허상준
산업운수업
자본금290,000,000원 (2020.12)
매출액21,120,381,040원 (2020)
영업이익-529,191,258원 (2020)
순이익158,853,894원 (2020)
자산총액15,048,987,259원 (2020.12)
주주주식회사 경기고속: 50.00%
주식회사 대원고속: 39.72%
주식회사 대원운수: 10.00%
허일호: 0.28%
모기업KD운송그룹
종업원 수100명 (2020.12)
웹사이트KD운송그룹

2. 역사


  • 1968년 8월 27일: 대진운수로 설립되었다.
  • 1998년: 도시형버스 7-5번(광릉내 ~ 청량리역) 노선을 신설했다.
  • 2004년 하반기: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에 인수되어, 사명이 대진운수에서 선진상운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방계회사인 유성운수 (현 경기운수)의 직행좌석버스 1001번 노선을 인수하여 기점이 소학1리로 연장되었다. 같은 해 자사의 직행좌석버스 1001번을 당시 방계회사인 선진시내에 양도하였다.
  • 2006년 8월: 환경부로부터 천연가스버스 우수보급업체로 선정되었다.
  • 2007년: 선진상운의 7-5번을 방계회사인 유성운수 (현 경기운수)에 매각하고, 유성운수 (현 경기운수)의 23번을 인수했다. 그리고 7번(광릉내 ~ 일동)을 선진시내에 양도하였다.
  • 2008년 11월 15일: 도시형버스 23번이 스펀지 2.0에서 '시어머니 버스'로 소개되었다.
  • 2009년 12월 1일: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이 방계회사인 유성운수 (현 경기운수)와 함께 KD운송그룹에 매각되었고, 사명이 선진상운에서 '''경기버스'''로 변경되었다. 같은 날, 선진시내버스의 도시형버스 11번 (구 직행좌석버스 1001번)을 인수하였다.
  • 2010년: 4월 1일 도시형버스 11번에서 직행좌석버스 11번으로 형간전환, 5월 24일 직행좌석버스 6006번 (광릉내 ~ 잠실역) 신설, 9월 1일 직행좌석버스 6006번에서 간선급행버스 8012번으로 노선 변경, 도시형버스 8번과 도시형버스 7-3번을 통폐합해 도시형버스 73번으로 변경.
  • 2012년: 광릉내차고지 계약기간 만료로 일부노선을 내촌차고지로 나머지노선을 진벌리차고지로 이전하였다.
  • 2014년: 1월 1일 도시형버스 7-4번이 배양리 구간이 단축되어 사릉역에서 회차하며, 기존 배양리 구간은 대원운수 91번이 대체운행. 9월 1일 직행좌석버스 7008번에서 도시형버스 74번으로 전환 및 내촌 ~ 진벌리 간 단축 및 청량리역 ~ 석계역 간 단축. 12월 22일 ~ 12월 26일 간선급행버스 8012번 노선에 2층 버스(Enviro 500)를 시범 운행하였다.[1]
  • 2015년: 11월 2일 도시형버스 7-7번이 진접읍사무소 앞을 경유하도록 노선이 변경. 같은 날 도시형버스 74번이 진접읍사무소 앞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도록 변경. 도시형버스 3-1번이 진접읍사무소 앞을 경유하도록 노선이 변경. 10월 11일 도시형버스 73번은 별내지구를 경유하고 도시형버스 74번과 덕송터널을 경유한다. 12월 19일 직행좌석버스 7007번과 간선급행버스 8012번이 내촌차고지에서 광릉내차고지로 단축.
  • 2016년 10월 24일: 도시형버스 23번이 하남시 스타필드로 종점을 연장하였다.
  • 2017년 1월 7일: 간선급행버스 8012번이 잠실광역환승센터로 기점변경
  • 2020년 2월 9일: 땡큐90번이 신설하였다.
  • 2023년: 4월 1일 도시형버스 3-1번이 땡큐31번, 땡큐32번으로 전환. 6월 30일 도시형버스 73번 폐선 되었고 땡큐32번이 땡큐31번으로 통합. 7월 1일 도시형버스 115번 신설. 7월 22일 도시형 72번 신설.
  • 2024년: 1월 1일 707번버스가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 11월 1일 23번 버스 하남시 구간 단축 및 천호역 회차

2. 1. 대진운수 및 선진상운 시절 (1968년 ~ 2009년)


  • 1968년 8월 27일 '''대진운수'''(大進運輸)로 설립되었다.
  • 1998년 도시형버스 7-5번 (광릉내 ~ 청량리역) 노선을 신설했다.
  • 2004년 하반기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에 인수되어, 사명이 '''대진운수'''(大進運輸)에서 '''선진상운'''(先進商運)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방계회사인 유성운수 (현 경기운수)의 직행좌석버스 1001번 노선을 인수하여 기점이 소학1리로 연장되었다. 같은 해 자사의 직행좌석버스 1001번을 당시 방계회사인 선진시내에 양도하였다.
  • 2006년 8월 환경부로부터 천연가스버스 우수보급업체로 선정되었다.
  • 2007년 선진상운의 7-5번을 방계회사인 유성운수 (현 경기운수)에 매각하고, 유성운수 (현 경기운수)의 23번을 인수했다. 그리고 7번(광릉내 ~ 일동)을 선진시내에 양도하였다.
  • 2008년 11월 15일 도시형버스 23번이 스펀지 2.0에서 '시어머니 버스'로 소개되었다.
  • 2009년 12월 1일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은 선진상운을 방계회사인 유성운수 (현 경기운수)와 함께 KD운송그룹에 매각하였고, 사명이 '''선진상운'''에서 '''경기버스'''로 변경되었다.

2. 2. KD운송그룹 인수 이후 (2009년 ~ 현재)

KD운송그룹에 인수된 이후, 2009년 12월 1일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은 방계회사인 유성운수 (현 경기운수)와 함께 KD운송그룹에 매각되었고, 사명은 '''선진상운'''에서 '''경기버스'''로 변경되었다.[1] 같은 날, 선진시내버스의 도시형버스 11번 (구 직행좌석버스 1001번)을 인수하였다.

2010년 4월 1일, 도시형버스 11번은 직행좌석버스 11번으로 전환되었고, 5월 24일에는 직행좌석버스 6006번(광릉내 ~ 잠실역)이 신설되었다. 9월 1일, 6006번은 간선급행버스 8012번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도시형버스 8번과 7-3번은 통합되어 73번으로 변경되었다.

2012년, 광릉내차고지 계약 기간 만료로 일부 노선은 내촌차고지로, 나머지는 진벌리차고지로 이전하였다.

2014년 1월 1일, 도시형버스 7-4번이 사릉역 회차로 단축되었고, 기존 배양리 구간은 대원운수 91번이 대체 운행하게 되었다. 9월 1일, 직행좌석버스 7008번은 도시형버스 74번으로 전환되면서 노선이 단축(내촌 ~ 진벌리, 청량리역 ~ 석계역)되었다. 12월 22일부터 26일까지, 8012번 노선에 2층 버스(Enviro 500)를 시범 운행하였다.[1]

2015년에는 여러 노선 변경이 있었다. 11월 2일, 7-7번과 74번은 진접읍사무소 앞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고, 3-1번은 진접읍사무소 앞을 경유하되 '금곡리입구.신동아아파트' 정류소는 경유하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10월 11일, 73번은 별내지구를 경유하고, 74번과 함께 덕송터널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12월 19일, 직행좌석버스 7007번과 간선급행버스 8012번은 광릉내차고지로 단축되었다.

2016년 10월 24일, 도시형버스 23번이 하남 스타필드까지 연장되었다. 2017년 1월 7일, 간선급행버스 8012번은 잠실광역환승센터로 기점이 변경되었다.

2020년 2월 9일, 땡큐90번이 신설되었다.

2023년에는 4월 1일 도시형버스 3-1번이 땡큐31번, 땡큐32번으로 전환되었다. 6월 30일, 도시형버스 73번이 폐선되었고, 땡큐32번은 땡큐31번으로 통합되었다. 7월 1일과 22일, 각각 도시형버스 115번과 72번이 신설되었다.

2024년 1월 1일, 707번 버스가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하였다. 11월 1일, 23번 버스는 하남시 구간을 단축하고 천호역에서 회차하도록 변경될 예정이다.

3. 운행 노선

경기버스는 과거 다양한 노선을 운행했지만, 현재는 일부 노선만 운행 중이거나 다른 회사로 이관 또는 폐선되었다.

번호기점종점비고
3광릉내차고지경복대학2009년 21번 노선 연장으로 폐선
3-1진벌마을극동.성호A광릉내, 진접역 경유, 땡큐31번으로 노선 변경
3-3광릉내차고지국립수목원경기운수 21번과의 중복으로 폐선
7광릉내차고지경동시장퇴계원, 상봉역, 청량리역 경유, 2007년 707번 입석 전환으로 폐선
7
(내촌)
내촌차고지경동시장광릉내, 퇴계원, 신내역, 상봉역, 회기역, 청량리역 경유
7
(어냄이)
오남읍경동시장퇴계원, 신내역, 상봉역, 회기역, 청량리역 경유
7
(갈매동)
갈매동 (담터)경동시장신내역, 상봉역, 회기역, 청량리역 경유
7
(직동리)
직동리경동시장국립수목원, 광릉, 봉선사, 퇴계원, 신내역, 상봉역, 회기역, 청량리역 경유
7
(매화동)
매화동경동시장광릉내, 퇴계원, 신내역, 상봉역, 회기역, 청량리역 경유
7
(어냄이)
오남읍장현
7
(팔현리)
팔현리장현
7
(광릉내)
광릉내일동선진시내버스에 매각
7
(광릉내)
광릉내현리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시절 방계회사인 선진시내버스에 매각
7
(광릉내)
광릉내내촌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시절 방계회사인 선진시내버스에 매각
7
(광릉내)
광릉내서파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시절 방계회사인 선진시내버스에 매각
7-1광릉내차고지남양주시청 제2청사퇴계원, 구리역, 도농역 경유, 2000년대 중반 폐선
7-2광릉내차고지정각사퇴계원 경유
7-3퇴계원석계역태릉선수촌,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역, 태릉입구역 경유, 경복대학 연장 후 73번 통합
7-5진벌리차고지청량리역경복대학교, 퇴계원역, 신내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경유, 유성운수 (현.경기운수)으로 이관 후 202-1번으로 변경 후 배탈고개로 노선 변경
7-6뱅이삼거리경동시장퇴계원역, 구리 나들목, 북부간선도로, 신내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경유
71-2금곡1리진접택지지구장현 경유, 71번에 통합
73경복대학석계역퇴계원, 삼육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역, 태릉입구역 경유, 7-3번 통합, 2023년 6월 30일부로 폐선
74경복대학 남양주캠퍼스석계역삼육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역, 태릉입구역 경유, 구 7008번 직행좌석버스, 2020년 3월 3일부로 운행 중단
78-1광릉내차고지강변역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퇴계원, 광나루역 경유
8광릉내차고지벌말삼거리경복대학, 퇴계원, 구리시청 경유
80광릉내차고지강변역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퇴계원, 광나루역 경유
88-1진벌리차고지경동시장퇴계원, 구리역,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경유, 구 7-9번
땡큐32진벌1리오남역광릉내, 진접역 경유, 구 3-1번, 땡큐31번으로 통합
138경복대학의정부역포천시, 의정부버스터미널 경유, 포천교통, 영종여객, 명진여객, 대진운수와 공동 배차, 현재는 포천교통에서만 운행
138-1경복대학의정부역포천시, 의정부버스터미널 경유,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시절 방계회사인 포천교통에 매각 후, 2012년 3월부로 폐선
705오남읍경동시장퇴계원, 신내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경유, 2000년경 폐선
707-1내촌차고지경동시장광릉내, 퇴계원, 신내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경유
708광릉내차고지강변역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퇴계원, 광나루역 경유, 2000년경 폐선
7008내촌차고지경동시장광릉내, 삼육대학교, 화랑대역, 태릉입구역, 먹골역, 중화역, 청량리역 경유, 2014년 9월 1일부로 74번 시내버스로 전환, 내촌~진벌리 간 단축, 청량리역~석계역 간 단축
6006광릉내차고지잠실역경복대학, 퇴계원 나들목,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토평 나들목, 강변북로, 잠실대교 경유, 간선급행버스, 현 8012번으로 노선변경
7007-2광릉내차고지잠실역퇴계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토평 나들목, 강변북로, 잠실대교 경유, 출퇴근용, 경기고속, 대원고속 버스 운영



더 자세한 정보는 "운행 지역별 노선"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운행 지역별 노선

경기버스는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각 노선은 지역별로 본사를 두고 관리하며, 주요 운행 지역과 노선은 다음과 같다.

본사주요 운행 지역 및 노선
진벌리707번, 72번, 땡큐31번 (진벌리, 광릉내, 퇴계원, 별내역, 청량리역 등)
사능115번 (사능, 사릉역, 화랑대역, 석계역 등)
내촌23번, 88번, 11번 (내촌, 광릉내, 오남역, 구리시, 천호역 등)
광릉내71번, 7-4번, 7-7번, 7-8번, 7-9번, 땡큐90번, 7007번, 8012번 (광릉내, 진접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잠실역, 강남역 등)



각 노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위 표에 정리된 해당 노선의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1. 진벌리 본사 운행 노선


  • 707번: 진벌리차고지 ↔ 광릉내 ↔ 서희스타힐스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별내역갈매역 ↔ 중랑경찰서후문 ↔ 상봉역 (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홍릉사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7번 통폐합 노선, 2024년 1월 1일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 실시)[1]
  • 72번: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 ↔ 진접역 ↔ 양지아파트 ↔ 휴먼시아16단지 ↔ 반도유보라아파트 ↔ 금곡리입구 ↔ 진접농협 ↔ 봉현마을 (2023년 7월 22일부터 신설노선)[2]
  • 땡큐31번: 진벌마을 ↔ 75사단입구 ↔ 광릉내 ↔ 서희스타힐스 ↔ 진접읍 행정복지센터 ↔ 반도유보라 ↔ 진접역 ↔ 휴먼시아16단지 ↔ 오남역 (구 3-1번-> 땡큐32번)

3. 1. 2. 사능 본사 운행 노선

115영어번: 사능차고지 ↔ 진건읍사무소 ↔ 사릉역 ↔ 진관사거리 ↔ 빛과소금교회앞 ↔ 관사, 일신건영, 새마을금고 ↔ 주을래마을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화랑대역 2번출구 ↔ 석계역 (구 태릉교통 1156번, 2023년 7월 1일 노선 신설)[1]

3. 1. 3. 내촌 본사 운행 노선

3. 1. 4. 광릉내 본사 운행 노선

4. 차량

경기버스는 다음과 같은 차종을 운용하고 있다.

차종비고
자일대우 BS090 뉴 로얄미디
자일대우 BS106 뉴 로얄시티
자일대우 BS110 뉴 로얄논스텝
자일대우 FXⅡ116 크루징 애로우
자일대우 FX116 하모니
현대 e-카운티
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현대 그린시티
현대 일렉시티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CHTC 에픽타운
CHTC 에픽시티
우진산전 아폴로 1100
볼보 B8RLE


5. 본점 및 지점

참조

[1] 블로그 2층버스 시범운행, 시야가 확 트이네요 http://ggholic.tisto[...] 경기도 공식블로그 2014-12-19
[2]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